충북도 제공충북지역 커피전문점에서 판매 중인 디카페인 커피의 카페인 제거율이 95%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최근 한 달간 도내 11개 시군 커피전문점 50곳에서 판매하는 디카페인 아메리카노를 대상으로 카페인 농도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그 결과 도내 커피전문점의 카페인 평균 농도는 1ℓ당 평균 15.7㎎으로 국내 유통 전문점 커피의 평균 카페인 함량(329.8㎎/ℓ)과 비교하면 평균 95.24%의 카페인 제거율을 보였다.
국내 디카페인 표시기준(90% 이상 제거율)에 못 미친 경우는 50곳 중 단 두 곳에 그쳤다.
국내에서는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경우 디카페인 표기가 가능하다. 미국은 97% 이상, EU(유럽연합)는 99% 이상 제거한 때만 디카페인 표기를 허용한 것과 비교하면 기준이 낮은 편이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에 디카페인 제조 방식에 따른 카페인 잔류량 조사도 벌였다.
그 결과 물에 대한 카페인 용해도를 이용한 제거 방식인 스위스워터 공법이 가장 높은 95.62%의 제거율을 보였다. 이어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천연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슈가케인 공법 94.12%, 고온·고압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CO2초임계 추출법 92.48%순으로 나왔다.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궁금증이 큰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카페인 함량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며 "도내 커피전문점의 디카페인 커피가 안전한 수준임이 확인됐지만 카페인에 민감한 임산부 등은 섭취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