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검색
  • 0
닫기

[오송참사 2주기] ②이제는 떨쳐낼 악몽…진상규명 새국면

0

- +

참사 2년 무관심·외면…책임자 처벌 '제자리걸음'
李 대통령, "관리 부실 인재, 엄중 처벌" 약속
16일 유가족 면담 예정, 국회 국정조사 급물살
유족·생존자 진상규명·재발 방지 대책 기대감

최범규 기자최범규 기자'오송참사' 유가족과 생존자들에게 지난 2년은 '악몽' 그 자체였다.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더뎠고, 상처를 보듬어야 할 지자체는 유가족들을 외면한 채 책임회피에만 급급했다.

그동안 충청북도와 청주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경찰과 소방 공무원까지 무려 43명이 무더기로 기소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처벌을 받은 건 공사를 담당한 현장소장과 감리단장 단 2명에 불과하다.

특히 최고 책임자로 지목된 이범석 청주시장과 이상래 전 행복청장은 재판대에 서게 됐지만, 김영환 충북지사는 검찰의 불기소 처분으로 책임을 피했다.

임성민 기자임성민 기자유가족들은 또 다시 허탈해했다.

김 지사에 대한 불기소 처분에 불복해 지난 2월 대전고등검찰청에 제기한 항고는 5개월째 무소식이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새 국면을 맞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국무회의에서 철저한 진상 조사와 책임 규명, 충실한 유가족 지원 조치를 지시했다.

유가족들을 모욕하는 반사회적 언행에 대해서도 무관용 원칙의 엄정한 대응을 주문했다.

전날(14일) 오송 지하차도 참사 현장을 직접 찾기도 했던 이 대통령은 16일 유가족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이 대통령은 참사 현장에서 "관리를 부실하게 해 인명 사고가 나면,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기준으로 그 책임을 아주 엄중하게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국회의원이 추진해 온 국정조사도 상임위 지정과 본회의 승인 등을 거쳐 이르면 다음 달 이후 진행될 전망이다.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오송참사생존자협의회 대표는 "1주기 때는 정말 희망이 없었다. 정부나 지방 정부는 완전히 무관심이었다"며 "그런데 지금은 정권이 바뀌면서 희망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