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민 기자오송 참사 2주기를 맞아 충북 청주에서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추모 문화제가 열렸다.
15일 오후 충북도청 정문 앞에서 유가족과 생존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송참사 2주기 추모제가 진행됐다.
추모제 시작에 앞서 참석자들은 묵념을 통해 희생자들을 위로했다.
단상에는 희생자 14명의 위패가 설치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근조화환도 배치됐다.
유가족협의회 이경구 공동대표는 "지난 2년간 우리는 이별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상태로 참사의 원인 규명을 밝히기 위해 거리로 나와야 했다"며 "오송 참사는 제방과 하천을 관리·감독한 기관과 홍수 경보와 위급한 상황을 전달받고도 어떤 조치도 하지 않은 기관이 모여 만든 사고"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지난 2년보다 한 달 남짓의 시간이 위로가 됐다"며 "구조적 문제와 책임 소재가 명확히 밝혀질 때까지 우리는 기다리고 또 기다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성민 기자생존자협의회 대표는 "참사 책임이 있는 지자체는 생존자 규모를 축소하려고 하며 책임 회피에 급급하기만 했다"며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애도는 진상 규명이며 피해 회복의 첫 단추는 책임자 처벌"이라고 강조했다.
추모제에는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 대표 후보와 이연희·이광희 국회의원과 행정안전부 김민재 차관 등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연희 의원은 "지난해 국회에 국정조사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324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채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며 "여야 지도부와 국회의장을 설득하고 국정조사를 통해 진실을 끝까지 파헤치고 책임자들이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임성민 기자이날 행사에선 2주기 추모 영상을 비롯해 추모 공연, 추모사, 헌화 등이 이어졌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폭우로 미호강 제방이 무너지면서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 하천물이 밀려 들어와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침수되고 3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다.
검찰은 오송참사의 책임을 물어 시공사·감리업체를 비롯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금강유역환경청, 충청북도, 청주시, 경찰, 소방 공무원 등 관련자 43명과 법인 2곳을 재판에 넘겼다.
미호천교 확장공사를 담당한 현장소장과 감리단장은 대법원에서 각각 징역 6년과 4년이 확정됐다.